
@RequestMapping 에서 method=RequestMethod.GET or POST가 추가되었습니다. 무엇을 의미할까요? 호출방식에 따라 같은 URL 요청이 들어와도 별개의 메서드가 처리할 수 있게 지원한 것입니다. https://hongku.tistory.com/122 SpringMVC :: @RequestMapping의 GET방식과 POST방식, GET 과 POST 차이 @RequestMapping의 GET방식 요청과 POST방식 요청 Request요청을 보낼때 GET방식으로 하는방법과 POST 방식으로 하는 방법이 있다. GET 방식으로 요청 뷰 페이지에서 form 태그 속성에 method 값을 GET으로 설정 hongku.tistory.com BindingResult는 뭘까요? 후에 추가..

이제 MVC에서 모델(Model)에 해당하는 구분을 구현해 봅시다. 모델은 컨트롤러에서 뷰로 전달해주는 정보입니다. 스프링MVC에서 모델을 생성하는 것은 DispaterServlet의 역할이죠. DispaterServlet이 생성한 모델에 대한 참조 변수는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이 붙은 메서드에서 인자를 선언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들어가볼까요? 코드에서 model에 addAttribute( )메서드를 이용해 boardService.list( ) 메서드의 반환 값을 model에 추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board/list라는 문자열 값을 반환하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MVC모델의 마지막 요소인 뷰에 대한 힌트입니다. 이 힌트를 이용해 스프링 MVC Dis..

사실 저는 게시판 프로젝트를 혼자 진행한 바 있습니다. https://github.com/kimjongbuem/bbs-jong GitHub - kimjongbuem/bbs-jong Contribute to kimjongbuem/bbs-jong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하지만 더욱 자세히 XML에 대해 이해하고자 책을 읽으며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시작해볼까요? Java Spring Lagacy Project -MVC를 선택하면, @Controller는 제쳐두고 @RequestMapping에 집중하도록 합시다. @RequestMapping은 API 문서에서 이렇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Annotation for mappin..

스프링을 이해하는 데 POJO(Plain Old Java Object)를 기반으로 스프링 삼각형이라는 애칭을 가진 IoC/DI, AOP, PSA라고 하는 스프링의 3대 프로그래밍 모델에 대한 이해가 필수입니다. 스프링프레임워크를 익히며 3대 모델을 차례대로 소개해보겠습니다. 1) IoC/DI - 제어의 역전/의존성 주입 의존성!? 대체 무엇일까요? 의사 코드) 운전자가 자동차를 생산한다. 자동차는 내부적으로 타이어를 생산한다. 자바 표현) new Car( ); Car 객체 생성자에서 new Tire( ); 의존성 단순 정의) 의존성은 new 다! new를 실행하는 Car와 Tire 사이에서 Car가 Tire에 의존한다. 결론적으로 전체가 부분에 의존한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관계를 구분하는 것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공식적인 정의는, 자바 엔터프라이즈 개발을 편하게 해주는 오픈소스 경량급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입니다. 스프링은 객체 지향의 특성과 설계 원칙을 극한까지 적용한 프레임워크이기에 스프링을 익힌다면 디자인패턴이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앞서배운 객체지향의 4대원칙과 설계 5원칙 그리고 디자인 패턴을 요리에 비유하자면, 요리도구 - 4대 원칙(캡! 상추다) 요리도구 사용법 - 설계원칙(SOLID) 레시피 - 디자인패턴 과 같습니다. 정보처리기사에서 알려주는 디자인 패턴은 33개인데 생성패턴 5개, 구조패턴 7개, 행위패턴 11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책에서는 8개 정도 구성되어 있는데 궁금하신 분들은 나머지 패턴도 공부하면 좋을 듯합니다. ㅎㅎ 1) 어댑터 패턴 - 구조패턴 어댑터 뜻..
객체 지향 설계의 정수 5원칙 SOLID SRP : 단일 책임 원칙 OCP : 개방 폐쇄 원칙 LSP : 리스코프 치환 원칙 ISP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DIP : 의존 역전 원칙 SOLID를 잘 녹여낸 프로그램은 이해하기 쉬우며 리팩토링과 유지보수가 수월해지며 논리적으로 정연됩니다. SOLID는 객체지향의 4대원칙 캡상추다(줄임말..)를 발판으로 하고 있으며 디자인 패턴의 뼈대,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근간이기도 합니다. 1) SRP - 단일 책임 원칙 어떤 클래스를 변경해야 하는 이유는 1가지 여야 한다. 예시를 들자면 남자라는 클래스에 여자친구, 어머니, 직장상사 등등과 접목하는 메서드있다고 칩니다. 그런데 여자친구와 헤어져서 여자친구와 관련된 데이트하기 메서드가 무색해집니다. 쓸모가 없어지는 것이..
저번에는 추상화, 상속, 다형성, 캡슐화에 관한 4대 객체지향의 특성을 알아보았고, 이제 자바에서 객체 지향을 확장하는 키워드를 알아보겠습니다. 1) Abstract 구현부가 없는 추상 메서드나 추상 클래스. 이것들을 왜 ? 정의할까요? 책에 있는 내용을 인용하자면, 동물이라는 클래스에 하위 고양이와 강아지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러면 강아지와 고양이가 울 때 멍멍, 야옹이라고 울겠죠? 그렇다면 동물 클래스는 어떻게 울어야할까요? 난해할 뿐만 아니라 답도 없습니다. 즉 이런 본질 클래스에는 추상이라는 키워드를 붙여서 추상 메서드를 재정의 하도록 하고, 본질 클래스는 쓰여지지 않도록하는데 객체로는 받을 수 있게 한 것이 자바의 기본 규칙입니다. 왜? 객체로는 받을 수 있게 할까요? 동물 동물객체 = n..
Class, Object , Property, method 이러한 단어들 대체 뭔 차이인지 명확히 구분하지 못한다면 프로그래밍이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을 안다면 객체지향의 한걸음을 나아간다고 자부합니다. Class vs Object 무슨 차이일까요? 예전에 틀과 틀에서 만든 무언가라고 설명하는 책과 교수님들이 많았습니다. 이 말도 어찌보면 틀린 말은 아니오나, 설명의 첨가가 약간 부족하죠. 틀이 아니라면 대체 뭘까요?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Class는 본질, 개념이며, Object는 본질에서 나온 세상의 무언가를 말합니다. 예를 하나 들자면, 클래스가 인간이라면 객체는 인간인데 세상에서 알고있는 인간. 이름, 체중 등(프로퍼티)을 갖고있고, 활발히 세상을 나아가는 존재인 즉 우리들을 말합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https://jwprogramming.tistory.com/52
- https://wikidocs.net/68
- https://velog.io/@juno7803/React%EA%B0%80-%ED%83%9C%EC%96%B4%EB%82%9C-%EB%B0%B0%EA%B2%BD
- https://react.vlpt.us/basic/11-render-array.html
- ㄴ
- https://react.vlpt.us/
- Co
- https://subicura.com/2017/01/19/docker-guide-for-beginners-1.htm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